💨 포터의 이야기를 전달합니다~ 빠담빠담 2023년 12월_ 지역생활실험실 담당자가 직접 적은 프로젝트 여정 |
|
|
이번 달 빠담빠담은 데모스X팀의 포터 활동가가 준비했습니다! 데모스X팀은 055를 지역번호로 사용하는 곳에서 지역의 연결과 활력을 더하기 위한 실험 프로젝트를 진행해보려고 한다는데요.
그 실험 프로젝트에 지역의 목소리를 담아 만들어가고자, 지역 곳곳에서 10번이 넘는 네트워크파티를 열었다고 합니다. 함께 만난 다양한 사람들과 생생한 현장의 모습을 포터의 이야기로 소개하니, 지금 바로 확인해보세요! |
|
|
@055지역생활실험실 여정을 함께 가보실래요? 🛵 |
|
|
안녕하세요! 오늘 이야기를 전할 활동가 포터라고 합니다😎 이번 겨울, 빠띠 데모스X팀에서는 지역생활실험실055@를 진행하느라 한창인데요. 홈페이지에 올라오는 소식에서는 못다한 이야기를 조금 더 나누고자 이렇게 찾아왔습니다. 일종의 무대 뒤편의 이야기랄까요?
빠띠에 대한 관심으로 빠담빠담을 구독해주시는 분들께는 그저 결과물만 보여드리는 것만이 아니라, 그 과정과 고민도 함께 나누고 싶었어요. 때로는 도착지의 모습만이 아니라, 함께 향해가는 여정 안에서도 의미를 발견할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그럼 지역생활실험실@055가 지금까지 온 여정을 이야기해드릴게요!
|
|
|
@055지역생활실험실 타이틀 이미지. 경남 지도를 배경으로 다양성과 연결을 나타내는 도형과 함께,
"사람, 대화, 가능성을 연결하여 경남의 새로움을 발견하고 활력을 만듭니다"라고 적혀있다. |
|
|
1. 지역생활실험실? 🤔
지역생활실험실은 올해 9월부터 ‘밀양소통협력센터’와 함께 경남 지역에서 진행하고 있는데요. 지역에서 발견한 기회와 가능성을 기반으로, 새로운 활동에 도전하려는 시민(팀)을 찾아 지원하는 프로젝트입니다. 인구의 수도권 집중화로 인해 지역에서의 삶이 사라질 위기에 놓여있다는 이야기가 나오는 지금, 실험실을 통해 시도될 다양한 삶의 방식과 사람(혹은 시민)을 연결하고 소개하려는 마음으로 시작하게 되었어요.
👉 보다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지역생활실험실 플랫폼 바로가기!
|
|
|
2. 055? 😲
처음 지역생활실험실을 준비하면서 '055가 무슨 뜻이지?' 싶었어요. 나중에 알아보니, 055가 바로 경남의 지역번호더라고요. ‘아, 내가 이렇게 경남을 모르고 있구나’라고 새삼 느꼈던 순간입니다. ‘경남에 대해서 잘 모르는 내가 이 프로젝트를 잘 진행할 수 있을까?’ 하는 걱정으로 이어졌죠. 그래서 무엇보다 경남 지역에 대해 잘 알아야 했고, 가장 먼저 사람을 만나보기로 했습니다. 지역 활동가, 혹은 지역살이를 남다르게 하고 있다고 소문난 사람을 알음알음 찾아서 ‘네트워크 파티'라는 모임에 초대를 했어요. 저 역시 오랜만에 찾아온 경남에서, 지인 찬스를 써서 한 명 한 명 연락했습니다. 안부 인사도 나누고 주변에 아는 사람 추천해달라며, 소위 ‘I’라고 불리는 내향적인 성향인 제가 꽤나 애쓰던 시간이었어요. 그렇게 네트워크 파티가 열리기 시작했습니다. 제일 먼저 도착한 곳은 ‘사천'이었어요.
|
|
|
지역생활실험실 모임 게시판 캡쳐본. 네트워크 파티를 모집하고 진행한 기록 미리보기가 의령, 김해, 사천 등 지역별로 나와있다. |
|
|
3. 사천의 맛집, 잃어버린 무언가 🍜
처음 만난 사천 시민분들과 자기소개를 하면서, 우연히 지역의 맛집 이야기가 나왔어요. 서로 자신만의 맛집 정보를 공유하고, 새로운 맛집을 알게 된 시민 분은 고맙다는 인사를 전하기도 했죠. 음식으로 웃음꽃이 피어나니, 이야기만 들어도 왠지 풍족한 느낌이 들었습니다. 뒤이어 나온 곰탕집 이야기는 조금 더 깊은 생각을 하게 만들었어요. 처음 문을 연 주인할머니가 자녀 분께 가게를 물려주었는데, 그 과정에서 시설이 최신식으로 바뀌며 오히려 맛을 잃었다는 내용이었습니다. 겉으로는 발전처럼 보이지만, 그 과정에서 잃어버리게 되는 것도 있구나 싶었어요. 시간이 흘러 최신의 것만 접한 사람들은 무엇을 잃어버렸는지도 모르게 되겠죠. 무엇이든 빠르게 변하는 서울 지역에서 사는 저는 이 이야기를 들으며 어쩌면 많은 것을 잃어버린채, 아니 있었는지도 모른채 지내고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스쳤습니다.
4. 짜장면 팔아 람보O기니 타고 놀러가자 🚗
두 번째 모임은 ‘합천'이었습니다. 한국의 지역명에는 특히 ‘천'이라는 글자가 자주 보이는 것 같은데요. 아무래도 물이 우리 삶에 있어 매우 중요한 자원이어서 그런 것 같습니다. 합천에도 역시나 ‘황강'이라고 해서, 낙동강으로 이어지는 강이 있습니다. 이 황강에서 사람들과 카약을 만들어서 타는 활동을 하고 싶다는 분도 계셨어요. 처음에 ‘황강'이라는 명칭이 서울 사람인 제겐 ‘한강'으로 들려서, 합천에도 ‘한강'이 있나? 하는 생각이 순간 스쳤다는 작은 에피소드도 있었답니다! 🥲
특별히 합천에서는 지역 활동가 분께서 직접 운영하시는 중국집(음식점)에서 네트워크 파티를 진행했는데요. 가보니 아래와 같은 ‘사훈'이 눈에 확 들어왔어요.
|
|
|
'사훈: 짜장면 팔아 람보르기니 타고 놀러가자' 라고 적혀있다. |
|
|
사훈을 보니 운영하시는 분의 자신감과 재치가 느껴져서, 짜장면도 왠지 더 맛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감사하게도 그 맛을 볼 수 있도록 ‘유린기'를 내어주셨고, 합천에서 딸기 농사를 짓고 계신 분께서는 막 재배해오신 딸기도 나누어주셔서 어느 곳보다 맛있는 모임을 가질 수 있었어요. 지역 살이의 다양한 맛과 고민이 어우러지는 시간이었습니다.
👉 합천 네트워크파티 기록 보러가기 🔎
|
|
|
5. 네트워크 파티, 가능하네? 👩👩👦👦
사실 파티를 준비하면서 ‘시민분들이 와주실까?’라는 고민이 가장 컸어요. 저는 빠띠에 와서 주로 수도권에서 많은 활동을 해왔기에, 경남 지역에 계신 분들에게는 낯설게 느껴질 수 있겠다 싶었거든요. 일단 파티 소식을 알릴 분들의 연락처를 찾는 것도 어려운 과제였습니다. 다행히 지역마다 한 명 한 명 연결되었고, 10월 30일부터~11월 3일까지 의령, 김해, 함양, 합천, 사천, 고성, 창원 7개 지역을 돌아다니면서 40명의 시민분들과 만날 수 있었답니다. 서로 다른 지역이지만 공통된 고민을 발견할 수도 있었고, 같은 주제에도 지역마다 다른 분위기 속에서 이야기가 펼쳐지는 게 신기하기도 했습니다.
6. 지역을 넘어, 시공간을 넘는 연결 🌐
그 2주 뒤 열린 2차 네트워크 파티에서는 서로 다른 지역 분들이 함께 만날 수 있도록 자리를 마련했어요. 다른 지역에서는 어떻게 활동하고 있는지 궁금하다, 또 타지역 시민들과 만나보고 싶다는 이야기들이 많이 나왔었거든요. 그래서 지도를 펼쳐놓고 서로 가까운 지역을 묶어 그 중심이 되는 5개 지역(진주, 남해, 고성, 밀양, 김해)에서 두 번째 파티를 열었습니다.
이때는 빠띠 타운홀을 활용해서 참여자분들의 관심 키워드를 묶어보는 실험을 진행했어요. 비록 다섯 번의 모임은 서로 다른 시간과 공간에서 진행되었지만, 각 모임의 참여자들은 이 키워드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었습니다. 그 결과, 2차 파티에 자리한 경남 지역 시민 및 활동가는 ‘지속가능한 지역’과 ‘유휴공간 활용’이라는 키워드로 가장 많이 연결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답니다.
|
|
|
네트워크 파티가 진행되고 있는 모습. 6명의 사람들이 앉아 이야기를 나누고 있고, 우측에는 X배너가 놓여있다. |
|
|
7. 가능성을 발견하고, 실험해보는 지역생활실험실 🙌
네트워크 파티에서 나온 의견과 결과를 모아, 경남 지역의 매력을 발견하고 연결할 실험 프로젝트를 모집하기로 했습니다. “이번 공모 과정이 단순히 잘하는 팀만 뽑아서 잘한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비록 선정되지 못하더라도 여러 지역의 활동가나 팀들이 서로 협력하거나 교류할 수 있는 하나의 장이 되면 좋겠어요" 이 이야기가 특히 와닿았는데요. 이를 반영해서 이번 프로젝트 모집 과정에서는 단순히 지원팀과 심사자만 만나서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지원자(팀)들이 서로 모여서 소개도 하고 협력할 지점도 찾아볼 수 있는 시간으로 준비하고 있습니다.
👉 연결실험프로젝트 모집 소식 바로가기
|
|
|
지역생활실험실 연결실험프로젝트 모집 포스터로, 모집공고 바로가기 (bit.ly/locallab2312) 링크 및 QR코드가 나와있다. |
|
|
빠띠는 이번 @055지역생활실험실이 형식적인 공모사업이 아니라, 실제로 지역에 의미와 성장이 남는 프로젝트가 되도록 고민하면서 진행하고 있습니다. 우리의 실험과 발걸음이 앞으로 지역의 변화와 성장을 만들고자 하는 다른 분들에게도 유용한 데이터와 사례가 될 수 있기를 바랍니다.
글 / 포터 (데모스X팀 활동가, porter@parti.coop) |
|
|
시민과 함께, 열린 기술로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빠띠와 함께 해주세요.
빠띠 후원하기
|
|
사회적협동조합 빠띠(Parti Co-op)contact@parti.coop 서울시 서대문구 수색로 43(남가좌동) 사회적경제마을자치센터 2층 수신거부 Unsubscribe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