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커뮤니티 #공론장 차별과 배제의 데이터에서 포용과 연대의 데이터로 민주주의 리포트를 여는 글과 함께 여러분에게 기쁜 소식 전합니다. 빠띠는 '데이터 공공재'를 만들고 활용해온 그간의 활동을 인정받아 서울시로부터 데이터 공유기업 인증을 받게 되었어요! 이번 글에서 공익 데이터팀은 코로나 방역 국면 이후, 개인정보 자기결정권이 침해되지 않게 하려면 공개하는 데이터뿐만 아니라 데이터 해석 과정에도 주목할 것을 강조합니다. 앞으로 빠띠는 코로나 상황을 슬기롭게 극복하기 위한 데이터를 활용과 더불어 시민, 기업과 정부가 '데이터 리터러시'에 대해 생각해보고 포용과 연대 의식을 기를 수 있도록 조성하고자 합니다. FtO Anywhere 2020-1 #공중보건 '동아시아 시빅해커들이 코로나19에 대응하는 방법' 동아시아 시빅해킹 커뮤니티 온라인 밋업 ‘Facing the Ocean’ Meet&Hack에서는 각국의 상황에 시빅해커는 어떻게 대응했는지 경험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어요. 🇰🇷 “전 국민이 해커톤 하듯 협업하다” 🇯🇵 “다양한 사람들의 기여와 신뢰로 협력하다” 🇭🇰 “원스톱 코로나19 정보 사이트를 만들다" 🇹🇼 “정부와 g0v 시빅해커가 마스크 문제를 풀다” 우리 등교해야 하나요? 시민의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빠띠 작은공론장 '온라인 개학' 편 여러 번 등교가 연기된 끝에 오랜만에 학교에 가서 친구들을 만나니 기쁜 학생들도 있고 자녀가 감염 위기에 놓이니 불안한 학부모들의 모습도 보입니다. 등교를 두고 여러 입장이 병존하는 때에 빠띠는 작은공론장 '온라인 개학' 편을 열었습니다. 학생, 학부모, 교사, 관심 있는 시민 20여 분과 온라인으로 연결되어 경험을 공유하고 앞으로 교육은 어떻게 바뀌어야 하는지 제안해 보는 자리를 가졌어요. 내가 경험한 최고의 공론장, 최악의 공론장은? 👍 "공론장은 행사 당일뿐만 아니라, 사전 정보 공유, 사후 결과 공유까지 모두 고려해야 해요." 👎 "어떤 이야기가 오고갔는지 확인할 수 있는 기록도 없었어요." 이외에도 공론장 활동가가 꼽은 최고의, 최악의 공론장은 어떤 모습일까요? 다음 모임을 놓치지 않으시려면, 일상의 민주주의 빠띠, 지금 무엇에 관심이 있나요? 서울시 서대문구 사회적경제마을자치센터 그룹스팀 인터뷰 기후 위기, 젠더 이슈, 세대 갈등처럼 딱 떨어진 정답 대신 다양한 접근이 필요한 사회 문제에 빠띠는 어떻게 접근하고 풀어나갈까요? 사회적협동조합이란 조직의 태를 갖춘 이유부터 그룹스팀은 어떻게 커뮤니티를 조직하고 지속해나가는지 모두 이야기로 나눠봤습니다. * <서대문구 사회적경제마을자치센터> 소셜라운드 입주기업 인터뷰 '⑥ 사회적협동조합 빠띠'에 실린 인터뷰입니다. [커뮤니티 툴킷] 커뮤니티의 실패를 줄여주는 4가지 팁 '이 얘기하면 분위기 망치겠지?' '처음엔 목표가 명확했는데 하면 할수록 모호해지네?' 커뮤니티 활동하며 신나고 설렜던 처음과는 달리 좋지 않게 마무리되거나 중간중간 혼란을 겪게 되는 경우가 있죠. 역시 '커뮤니티 활동은 어렵다'는 고민이 들 때, 어떻게 혼란을 어떻게 줄여볼 수 있을까요? 또다른 빠띠의 소식
|
디지털 시민 광장 빠띠가 보내는 뉴스레터입니다